맨위로가기

수면 (마음작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면 (마음작용)은 마음이 가라앉고 어두워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육체적 피로, 정신적 무기력함, 둔함 등을 포함한다. 이는 혼침과 함께 혼면개(惛眠蓋)를 이루며, 5무루온 중 혜온을 장애하여 비발사나 수행을 어렵게 한다. 수면은 불교의 다양한 경전과 학설에서 다루어지며, 아비달마, 미팜 린포체, 알렉산더 베르진 등의 설명을 통해 그 특징과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언급된다. 수면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밝은 생각을 떠올리고, 마음챙김, 정진하는 것이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소법 - 마음작용 (현양성교론)
    마음작용은 《현양성교론》에서 마음과 상응하는 모든 법을 의미하며, 아뢰야식의 종자에서 생겨나 마음에 의지하여 함께 작용하는 대승불교의 교의에 따라 51가지로 분류된다.
  • 심소법 - 무치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수면 (마음작용)
일반 정보
산스크리트어미드다 (middha)
팔리어미드다 (middha)
영어토포어 (torpor), 수면 (sleep), 졸음 (drowsiness)
크메르어멛타으 (mettheak)
티베트어གཉིད། (gnyid, nyi)
중국어睡眠 (수면), 眠 (면)
한국어수면, 면
불교적 분류
마음부수불선

2. 용어 설명

2. 1. 수면 (睡眠, Middha)

수면(산스크리트어: middha, གཉིད་bo, gnyidbo)은 마음이 가라앉고 어두워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무기력함, 둔함, 명료하지 못함 등을 포함한다. 수면은 다른 마음작용인 혼침과 합하여 5개 중의 하나인 혼면개가 된다. 혼면개는 5무루온 가운데 혜온을 장애하는데, 이는 수면과 혼침이 비발사나(삼매에 의한 正觀)를 멀리하게 하기 때문이다.

아비달마집요에 따르면, 졸음(middha)은 졸음의 원인을 출발점으로 삼아 마음이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적절한 시기, 부적절한 시기, 적절하고 부적절한 것에 동의하는 것이며, 혼란과 관련되어 잘못을 범하고, 해야 할 일을 놓치게 되는 기반이 된다.[2]

미팜 린포체에 따르면, [Middha]는 선하거나 악하거나, 적절하거나 부적절하거나, 시기적절하거나 부적절한 것에 대한 어떠한 차별 없이 다섯 가지 감각 문(五根)의 의식을 안으로 철회하게 하며, 망상의 범주에 속하고, 활동을 잃는 것을 지지한다.[3]

알렉산더 베르진은 수면(middha)이 무지의 일부이며, 감각적 인지로부터의 철회이고, 육체적인 무거움, 쇠약함, 피로감, 정신적인 어두움으로 특징지어지며, 우리가 활동을 중단하게 한다고 설명한다.[5]

혼면개(惛眠蓋)의 먹이[食]는 다섯 종류의 법으로, 눈꺼풀이 무거워 감기는 것, 신이 나지 않는 것, 노곤하여 하품하는 것, 너무 많이 먹어 소화가 되지 않는 것, 명료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혼면개의 비식(非食, 대치)은 밝은 생각[光明想]이다.

2. 2. 혼침 (惛沈, Thina)

혼침은 정신 요소의 병적인 상태로, 둔함을 특징으로 한다.[1] 몸과 마음이 무겁고 활기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며, 질식시키는 기능을 한다.[1] 늘어짐, 졸음, 또는 꾸벅거림으로 나타나며, 그 근접 원인은 해태(thina)와 같다.[1]

Atthasālinī (II, Book I, Part IX, Chapter II, 255)에서는 해태와 혼침에 대해 "노력의 부재, 무능력으로 인한 어려움이 그 의미이다."라고 언급한다.[4] "해태-혼침"은 해태와 혼침을 합한 것이다. 해태는 노력의 부재 또는 반대, 에너지 파괴를 특징으로 하며, 관련 상태의 침체를 기능으로 한다. 혼침은 의식의 문을 닫는 것을 기능으로 하며, 대상 포착의 위축 또는 졸음을 나타낸다. 둘 다 불만과 게으름(또는 탐닉)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체계적이지 못한 생각을 근접 원인으로 한다.[4]

해태와 혼침이 있으면 다나를 행하고, 실라를 지키고, 담마를 듣고, 담마를 공부하거나, 고요함을 개발할 에너지, 지금 나타나는 현실을 알아차릴 에너지가 없다.[4]

2. 3. 혼면개 (惛眠蓋)

혼면개(惛眠蓋)는 수면(睡眠)과 혼침(惛沈)이 결합된 번뇌로, 5개(五蓋) 중 하나이다. 혼면개는 마음을 가라앉게 하고 어둡게 하는 작용을 한다. 5무루온(五無漏蘊) 가운데 혜온(慧蘊)을 장애하는데, 특히 비발사나(毘鉢舍那, vipasyana: 삼매에 의한 正觀) 수행을 어렵게 만든다.

혼면개의 먹이[食]는 다섯 종류의 법으로, 눈꺼풀이 무거워 감기는 것[瞢], 신이 나지 않는 것[不樂], 노곤하여 하품하는 것[頻申], 너무 많이 먹어 소화가 되지 않는 것[食不平性], 명료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것[心昧劣性]이다. 혼면개를 대치하는 비식(非食)은 밝은 생각[光明想]이다.

2. 4. 오개 (五蓋)

수면(睡眠)은 혼침(惛沈)과 함께 5개(五蓋) 중 하나인 혼면개(惛眠蓋)를 이룬다. 이 둘은 모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가라앉게 하고 어둡게 하는 작용을 한다. 혼면개는 5무루온(五無漏蘊) 중 혜온(慧蘊)을 장애하는데, 이는 수면과 혼침이 비발사나(毘鉢舍那, vipasyana: 삼매에 의한 正觀)를 멀리하게 하기 때문이다.

혼면개는 다섯 가지 먹이[食]를 가지는데, 첫째는 눈꺼풀이 무거워 감기는 것[瞢], 둘째는 신이 나지 않는 것[不樂], 셋째는 노곤하여 하품하는 것[頻申], 넷째는 너무 많이 먹어 소화가 되지 않는 것[食不平性], 다섯째는 명료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것[心昧劣性]이다. 혼면개의 대치[治]는 밝은 생각[光明想]이다.

모든 번뇌는 수행자의 착한 마음을 내지 못하게 한다는 뜻에서 '개(蓋, āvarana)'라고 불리지만, 오직 다섯 가지만 '개'라고 불리는 이유는 이들이 5무루온에 대해 뛰어난 장애가 되기 때문이다. 즉, 욕탐개와 진에개는 계온(戒蘊)을, 혼침과 수면은 혜온을, 도거와 악작(惡作, '회'의 다른 명칭)은 정온(定蘊)을 장애한다. 정온과 혜온이 없으면 4제(諦)에 대해 의심하게 되고, 나아가 해탈온(解脫蘊)과 해탈지견온(解脫知見蘊)을 일으키지 못하게 된다.

3. 상좌부 불교의 관점

비구 보디는 혼침(昏沈)을 정신 요소의 병적인 상태로 설명하며, 그 특징은 둔함이고 기능은 질식시키는 것이라 한다. 이는 늘어짐, 졸음, 또는 꾸벅거림으로 나타나며, 해태(懈怠, 티나/thinapli)와 근접 원인이 같다고 설명한다.[1]

Atthasālinī에서는 해태와 혼침에 대해 "노력의 부재, 무능력으로 인한 어려움이 그 의미이다."라고 언급하며, 해태와 혼침을 합한 "해태-혼침"은 해태와 혼침을 합한 것이라 정의한다. 해태는 노력의 부재 또는 반대, 에너지 파괴를 특징으로 하며, 관련 상태의 침체를 기능으로 한다. 혼침은 둔함을 특징으로 하고, 의식의 문을 닫는 것을 기능으로 하며, 대상 포착의 위축 또는 졸음을 나타낸다. 이 둘은 모두 불만과 게으름(또는 탐닉)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체계적이지 못한 생각을 근접 원인으로 한다.[4]

니나 반 고르컴은 해태와 혼침이 있으면 보시(다나), 실라를 지키고, 담마를 듣고, 담마를 공부하거나, 고요함을 개발하고, 지금 나타나는 현실을 알아차릴 에너지가 없다고 설명한다.[4]

3. 1. 아비담마에서의 설명

비구 보디는 혼침(昏沈)을 정신 요소의 병적인 상태로 설명하며, 그 특징은 둔함이고 기능은 질식시키는 것이라 한다. 이는 늘어짐, 졸음, 또는 꾸벅거림으로 나타나며, 해태(懈怠, 티나/thinapli)와 근접 원인이 같다고 설명한다.[1]

Atthasālinī(II, Book I, Part IX, Chapter II, 255)에서는 해태와 혼침에 대해 "노력의 부재, 무능력으로 인한 어려움이 그 의미이다."라고 언급하며, 해태와 혼침을 합한 "해태-혼침"은 해태와 혼침을 합한 것이라 정의한다. 해태는 노력의 부재 또는 반대, 에너지 파괴를 특징으로 하며, 관련 상태의 침체를 기능으로 한다. 혼침은 둔함을 특징으로 하고, 의식의 문을 닫는 것을 기능으로 하며, 대상 포착의 위축 또는 졸음을 나타낸다. 이 둘은 모두 불만과 게으름(또는 탐닉)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체계적이지 못한 생각을 근접 원인으로 한다.[4]

니나 반 고르컴은 해태와 혼침이 있으면 보시(다나), 실라를 지키고, 담마를 듣고, 담마를 공부하거나, 고요함을 개발하고, 지금 나타나는 현실을 알아차릴 에너지가 없다고 설명한다.[4]

3. 2. 수행에서의 극복

4. 대승 불교의 관점

아비달마집요에서는 수면이 혼란과 관련되어 잘못을 범하게 하고, 해야 할 일을 놓치게 되는 기반이 된다고 설명한다.[2] 미팜 린포체는 수면이 선하거나 악하거나, 적절하거나 부적절하거나, 시기적절하거나 부적절한 것에 대한 어떠한 차별 없이 오근(五根)의 의식을 안으로 철회하게 하여 활동을 잃게 만든다고 설명한다.[3] 알렉산더 베르진은 수면(gnyidbo)이 모하의 일부이며, 감각적 인지로부터의 철회이고, 육체적인 무거움, 쇠약함, 피로감, 정신적인 어두움으로 특징지어져 우리가 활동을 중단하게 한다고 설명한다.[5]

4. 1. 유식학에서의 설명

아비달마집요에서는 수면이 혼란과 관련되어 잘못을 범하게 하고, 해야 할 일을 놓치게 되는 기반이 된다고 설명한다.[2] 미팜 린포체는 수면이 선하거나 악하거나, 적절하거나 부적절하거나, 시기적절하거나 부적절한 것에 대한 어떠한 차별 없이 오근(五根)의 의식을 안으로 철회하게 하여 활동을 잃게 만든다고 설명한다.[3] 알렉산더 베르진은 수면(gnyidbo)이 모하의 일부이며, 감각적 인지로부터의 철회이고, 육체적인 무거움, 쇠약함, 피로감, 정신적인 어두움으로 특징지어져 우리가 활동을 중단하게 한다고 설명한다.[5]

4. 2. 수행에 미치는 영향

수면(Middha)은 무지(모하)의 일부이다.[5] 아비달마집요에 따르면, 졸음의 원인을 출발점으로 삼아 마음은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적절한 시기, 부적절한 시기, 적절하고 부적절한 것에 동의하며, 혼란과 관련되어 잘못을 범하고, 해야 할 일을 놓치게 되는 기반이 된다.[2] 미팜 린포체는 수면이 선하거나 악하거나, 적절하거나 부적절하거나, 시기적절하거나 부적절한 것에 대한 어떠한 차별 없이 다섯 가지 감각 문(五根)의 의식을 안으로 철회하게 하며, 망상의 범주에 속하고, 활동을 잃는 것을 지지한다고 설명한다.[3] 알렉산더 베르진은 수면이 감각적 인지로부터의 철회이며, 육체적인 무거움, 쇠약함, 피로감, 정신적인 어두움으로 특징지어지고, 우리가 활동을 중단하게 한다고 설명한다.[5]

5. 한국 불교에서의 혼면개

5. 1. 원효의 관점

5. 2. 현대 한국 불교의 실천

6. 극복 방법

6. 1. 밝은 생각을 떠올리기 (光明想)

6. 2. 마음챙김 (Mindfulness)

6. 3. 정진 (精進)

6. 4. 사회적 실천과 연대 (진보적 관점)

참조

[1] 서적 Bhikkhu Bodhi https://books.google[...] 2003
[2] 서적 Guenther 1975
[3] 서적 Kunsang 2004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Sloth, Torpor, and Doubt https://archive.toda[...] 2010
[5] 서적 Berzi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